- 목차 (Content)
제가 산업안전기사 준비하면서 확보한 자료 공유합니다. 산업안전(산업) 기사 작업형 문제 Part #2 (기계 3~4강)-전주 위 작업 시 위험요인 및 안전대책, 활선작업 시 위험요인, 전주 작업 중 추락, 교류아크 용접기 작업, 작업자 감전 보호구 등의 자료입니다.
산업안전(산업) 기사 작업형 문제풀이 Part#4 (전기 7~8강) 전주 위 작업 시 위험요인 외
산업안전(산업) 기사 작업형 문제 Part #5 (전기 7~8강)-전주 위 작업 시 위험요인 및 안전대책, 활선작업 시 위험요인, 전주 작업 중 추락, 교류아크 용접기 작업, 작업자 감전 보호구, 아크용접작업 시 감전 위치, 변전실 주변 재해방지대책, 충전 선로 인근 크레인 항타작업 시 준수사항, 고압선 주변 위험요인 안전대책, 콘크리트 전주 세우기 작업 중 재해원인, 가설 전선작업 중 감전사고 예방대책, 터널 안 작업 중 감전 형태 등의 자료 공유드리며, OO 클릭해주신 분 감사드립니다.
작업형 문제 Part #4(전기 7~8강) 전주 위 작업 시 위험요인 및 안전대책, 활선작업 시 위험요인 등
[산업안전기사 실기 작업형 _전기_7강 ]
■전주 위의 작업
[동영상] 시나리오.
: 영상은 전주 위에서 2명의 작업자가 있고 그중 작업자 1명은 변압기 위에서 작업하면서 흡연하고 있다. 영상 속에서는 발판용 볼트에 C.O.S(컷아웃스위치)가 걸쳐있는 것을 보여준다. 이어서 다른 작업자 주변에서 이동식 크레인에 작업대를 매달고 작업을 하는 영상이다.
문제 1. 영상은 전주 위의 전기 형강 작업이다. 작업 중 위험요인 3가지를 쓰시오.
1. 작업 중 흡연을 하여 작업에 집중하지 못해 감전 위험이 있다.
2. C.O.S를 발판용 볼트에 불안하게 걸쳐 놓아 낙하 위험이 있다.
3. 작업자가 딛고 선 발판이 불안정해 작업자가 추락위험이 있다.
(이건 영상에서 발판이 흔들어 길거나 휘어져 있는 경우에 쓰면 됨, 이런 경우는 작업에 필요한 설비는 작업대에 싣고 올라가는 게 바람직한 것임)
문제 2. 안전대책을 가지 쓰시오.
1. 작업 중 흡연을 금지한다.
2. 작업 발판의 설치상태를 점검하고 작업자는 불안정한 자세로 작업하지 않도록 한다.
3. 발판용 볼트에 C.O.S 등 작업 용구를 걸쳐놓지 않도록 다른 방법을 강구한다.
■ 절연용 방호구 설치 작업
[동영상 ] 시나리오.
: 영상은 전주 위 활선작업을 보여준다. 작업자 1명은 밑에서 절연 방호구를 올리고 다른 작업자 1명은 이동식 크레인 운반구 위에서 활선에 절연 방호구 설치 작업 중 감전 사고가 발생하는 화면을 보여 주고 있다. 이때 작업자 간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아 이동식 크레인의 붐대가 충전 전로에 닿을 뻔했다.
문제 1. 시 내재되어 있는 핵심 위험요인 3가지를 쓰시오.
1. 크레인 붐대가 충전 선로에 접촉되어 감전의 위험이 있다.
2. 작업자 간 신호전달이 원활하지 않아 크레인의 붐대가 충전 선로에 접촉되어 감전될 위험이 있다.
3. 작업자가 내전압용 절연장갑 등 보호구를 착용하지 않아 감전 위험이 있다.
문제 2. 화면의 전주 변압기가 활선인지 아닌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 3가지 쓰시오.
1. 검전기로 확인한다.
2. 테스터기의 지시 치를 확인한다.
3. 접지 봉으로 접지 확인한다.(이건 잘 안 쓰는 방법인데 3가지 쓰라고 하니깐 알아 둘 것)
문제 3. 가지를 쓰시오.
1. 전기기기 등에 공급되는 모든 전원을 관련 도면, 배선도 등을 확인할 것
2. 전원을 차단한 후 각 단로기 등을 개방하고 확인할 것
3. 차단 장치나 단로기 등을 잠금장치 및 꼬리표를 부착할 것
4. 검전기를 이용하여 작업 대상 기기가 충전되었는지 확인할 것
5. 잔류 전하 방전 조치를 할 것
6. 근접 활선 방호조치를 할 것
7. 단락 접지 기구 설치할 것
작업 전 사항만 잘 알아도 작업 중, 작업 후를 적을 수 있다.
문제 4. 정전작업 중 조치사항 3가지를 쓰시오.
이건 앞의 내용을 확인관리!
1. 근접 활선에 대한 방호 상태 확인관리
2. 단락 접지 상단락 접지상태의 확인 관리
3. 차단 장치나 단로기 등에 설치된 잠금장치 및 꼬리표 부착상태 확인관리
문제 5. 가지를 쓰시오.
이건 설치한 거 철거하면 된다.
1. 모든 작업자가 작업이 완료된 전기기기 등에서 떨어져 있는지를 확인할 것
2. 잠금장치와 꼬리표는 설치한 근로자가 직접 철거할 것
3. 모든 이상 유무를 확인 후 전기기기 등의 전원을 투입할 것
4. 단락 접지 기구 철거할 것
5. 근접 활선 방호조치 철거할 것
■ 전주 작업 중 추락
[동영상 ] 시나리오
: 영상은 작업자가 목장갑을 낀 채 안전대를 착용한 채 전주 위에 올라갔으나 안전대 부착설비가 없어 사용하지 못하고 발판 볼트를 불안정하게 딛고 서서 작업하다가 추락했다.
문제 1. 영상에 참고해 아래 물음에 답하시오.
1. 재해 형태 : 떨어짐
2. 위험요인 3가지 쓰시오.
1) 안전대 부착설비 미설치로 인한 추락위험이 있다.
2) 절연용 안전장갑 등 절연용 보호구 미착용하여 감전의 위험이 있다.
3) 작업자가 발판 볼트에 딛고 있어 자세가 불안정하여 추락위험이 있다.
문제 2. 작업자가 착용하고 있는 안전대의 종류와 용도를 쓰시오.
이건 영상에서 어떤 걸 착용하고 있는지를 구분할 줄 알고 가서 실제 착용한 걸 쓰면 됨!
1. 종류 : 벨트식
2. 용도 : U자 걸이 전용
안전대 종류 및 용도
벨트식 (U자 걸이용, 1개 걸이용)
그네식 (안전블록, 추락방지대)
문제 3. 작업자가 전주에 올라가다가 표지판에 부딪혀 추락하는 재해가 발생하였다. 재해 발생 원인 2가지를 쓰시오.
1. 전주에 올라갈 때 방해를 주는 표지판을 이설 하지 않아 재해 발생했다.
2. 전주에 올라갈 때 머리 위의 시야 확보를 소홀히 하여 재해 발생했다.
활선작업용 차량같이 탑승구를 이용해 작업자가 안전하게 올라가는 것이 대책으로 될 수도 있지만 위 문제는 재해발생 원인만 쓰라
■ 교류 아크 용접기 작업
[동영상 ] 시나리오.
: 영상은 교류 아크 용접을 보여주고 있다. 작업자는 캡 모자와 목장갑을 착용하고 있으며 작업자가 용접을 하고 슬래그를 털어낸 뒤 다시 용접을 하는 순간 감전되었다.
문제 1. 영상을 참고해 아래 질문에 답하시오.
1. 기인물을 쓰시오.
: 교류 아크 용접기
2. 교류 아크 용접기 자동 전격 방지기 종류 4가지 쓰시오.
1) 내장형
2) 외장형
3) 저저항 시동형
4) 고저항 시동형
*자동 전격 방지기 : 1초 이내에 2차 측 무부하 전압을 25V 이하로 낮출 수 있는 교류 아크 용접기의 대표적인 방호장치
문제 3. 작업자의 눈과 감전 방자를 위해 착용해야 할 보호구 명칭
1) 용접용 보안면
2) 용접용 장갑
용접용 보안면 대신 용접용 보안경을 써도 되고, 용접용 장갑 말고 용접용 가죽장갑 써도 상관없다.
다만, 감전이라고 해도 용접 작업의 경우 용접용 장갑으로 쓰는 게 바람직하다. 용접용 용접용 장갑도 절연기능이 있다.
문제 4. 영상과 같이 교류아크용접기 사용 시 사용 전 점검사항 3가지를 쓰시오.
1. 전격 방지기 외함의 접지 상태
2. 전격 방지기 외함의 뚜껑 상태
3. 전자 접촉기의 작동 상태
문제 5. 배관을 3가지 쓰시오.
1. 용접기 케이스
2. 용접봉 홀더
3. 용접봉 케이블
4. 용접기의 리드 단자
문제 6. 배관 아크 용접 작업 중 작업자가 감전되기 쉬운 신체 부위를 4가지 쓰시오.
1. 손
2. 발
3. 머리
4. 몸통
■ 교류 아크 용접기 작업
[동영상] 시나리오.
: 영상은 작업자가 홀로 아크 용접을 진행하고 있다. 대구경관의 플랜지 아랫부분을 용접하는데 한 손으로 회전 스위치를 조작하고 다른 한 손으로는 용접을 하고 있다. 또한 주변에 인화성 물질 용기가 쌓여 있다.
문제 1. 영상을 참고해 작업자 측면의 위험요인과 작업현장의 위험요인을 쓰시오.
1. 작업자 측면의 위험요인
: 단독 작업단 독 작업으로 양손을 사용해 무리하게 작업해 작업자가 다칠 수 있다.
(재해 요인이 직접적으로 보이지 않을 경우 이렇게 쓴 것이지 영상에서는 분명 결함을 잘 보여줄 것이니 어떤 위험이 있는지를 확인 후 쓸 수 있도록 할 것)
2. 작업 현장의 위험요인
: 용접 작업장 주위에 인화성 물질이 많이 있으므로 화재의 위험이 있다.
*보면 알겠지만 용접기 나올 확률 높다
[[자격증] 산업안전기사 실기/작업형_전기_8강
■ 변전실 주변 작업
[동영상] 시나리오.
: 영상은 변전실 근처에서 공놀이 중 변전실 울타리 안으로 들어가 충전부에 떨어진 공을 줍기 위해 출입문을 통해 들어가 공을 꺼내다가 감전되는 영상이다.
문제 1. 영상을 참고해 재해방지대책 3가지를 쓰시오.
1. 변전실에 관계자 외의 출입을 막기 위해 출입구에 잠금장치를 설치한다.
2. 변전실 근처에서 공놀이를 할 수 없도록 하고 경고표지판을 부착한다.
3. 작업자들에게 변전실의 전기위험에 대한 안전교육을 실시한다.
■ 충전 전로 인근에서 크레인 항타기 작업
[동영상] 시나리오.
: 영상은 충전 전로 근처에서 크레인(항타기)을 이용하여 전주 세우기 작업을 하다가 충전 전로에 접촉되어 스파크가 튀는 영상이다.
문제 1. 인근에서 기계를 이용한 작업 시 준수사항을 3가지 쓰시오.
1. 충전 전로와 충분한 이격거리를 유지하도록 한다.
2. 작업 차량과 근로자가 접촉하지 않도록 방책을 설치하거나 감시인을 배치하도록 한다.
3. 충전 전로에 절연용 방호구를 설치하도록 한다.
[유사한 문제]
유사 1. 화면은 콘크리트 전주 세우기 작업 도중에 발생한 사례이다. 영상에서와 같은 동종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 중 작업지휘자가 취해야 할 사항 3가지를 쓰시오.
- 유사 2. 항타기, 항발기 작업을 고압선로 인근에서 하고 있을 때 작업 시 유의사항 2가지를 쓰시오.
- 유사 3. 항타기, 항발기 작업하는 주위에서 2~3명의 작업자가 안전모를 착용하고 작업하는 중 순간 근처 전선에서 스파크가 발생한 사례이다. 고압선 주위에서 항타기, 항발기 작업 시 안전 작업 수칙 2가지를 쓰시오.
- 유사 4. 화면은 30kV 전압이 흐르는 고압선 아래에서 작업 중 발생한 재해사례이다. 크레인을 이용하여 고압선 주변에서 작업할 경우 사업주의 조치사항 2가지를 쓰시오.
유사 5. 이동식 크레인이 고압선 주변에서 작업할 경우 위험요인과 안전대책 3가지를 쓰시오.
1. 위험요인
1) 이동식 크레인에 접지공사를 하지 않아 위험하다.
2) 해당 충전 전로에 절연용 방호구를 설치하지 않아 위험하다.
3) 이격거리를 유지하지 않고 작업하고 있어 충전부에 접촉하여 위험하다.
2. 대책
1) 이동식 크레인의 접지를 실시 한다.
2) 충전 전로와 충분한 이격거리를 유지하도록 한다.
3) 충전 전로에 절연용 방호구를 설치하도록 한다.
방책과 감시인 배치를 써도 상관없다..
유사 6. 콘크리트 전주 세우기 작업 중 발생한 사례이다. 영상에서와 같이 발생한 재해 발생 원인 중 직접 원인에 해당되는 것은 무엇인지 쓰시오.
1. 충전 전로와 이격거리 미준수
2. 인접 충전 전로에 절연용 방호구 미설치
충전 전로 근처에서 크레인이나 항타기들 작업 시에는 답이 정해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격거리, 방책 및 감시인, 절연용 방호구, 접지공사
문제 2. 콘크리트 전주 세우기 작업 도중에 발생한 사례이다. 항타기, 항발기 조립 시 사용 전 점검 사항 3가지를 쓰시오.
1. 본체의 연결부의 풀림 또는 손상의 유무
2. 버팀의 방법 및 고정상태의 이상 유무
3. 권상기의 설치상태의 이상 유무
문제 3. 화면은 크레인으로 전주에 옮기다 작업자가 전주에 부딪히는 영상이다. 물음에 답하시오.
1. 재해유형 : 부딪힘
* 전주가 떨어져 근로자가 맞았다면 이경우는 맞음(날아오거나 떨어진 물체에 맞음)으로 써야 함)
2. 가해물 : 전주
3. 전기용 안전모의 종류 : AE형, ABE형
■ 가설 전선 작업
[동영상 ] 시나리오.
: 영상은 도로 공사에서 가설 전선 점검 중 전선 연결부를 점검하다가 감전되는 영상이다.
문제 1. 영상을 참고해 감전사고 예방대책 3가지를 쓰시오.
유사 2. 영상은 터널 내부에서 설치한 가설 전선을 점검 중 감전되는 영상이다. 화면에서 발생한 감전 사고의 안전대책 3가지를 쓰시오.
1. 작업 근로자 감전에 대비한 절연용 보호구 착용
2. 전원 차단 후 점검하도록 할 것
3. 정격 누전차단기를 설치할 것
4. 이동 전선의 절연 조치를 를 할 것
3번 답은 누전에 의한 건지 충전부에 의해 감전된 것인지 영상마다 다르다.
문제 2. 화면은 터널 안에서 안전 관련 전기 작업을 하다가 감전을 당했다. 감전 형태와 정의를 쓰시오.
1. 재해 형태 감전
2. 정의
: 전기설비의 충전부 등에 신체의 일부가 직접 접촉하거나 유도전류의 통전으로 근육의 수축, 호흡곤란, 심실세동 등이 발생한 경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