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컨 '정속형.인버터' 확인방법 과 여름철 에어컨 절전팁 Best 5

2022년 07월 06일 by 도리포1

    목차 (Content)
728x90
반응형

본격적인 찜통더위가 시작되어 선풍기 사용만으로는 더위를  해결할 수 없어, 에어컨을 사용하다 보면, 가동시간이 늘어나면 전기요금 누진세 폭탄까지도 걱정되게 되는데, 절전을 위해 필수적인 정속형 인버터 확인방법 및 에어컨 절전팀 Best 5를 간단히 정리해 드립니다. 

 

이 방법을 제대로 잘 활용하신다면 전기세 걱정 없이 쾌적한 여름날을 보내는데 크게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에어컨 '정속형. 인버터' 확인방법과 여름철 에어컨 절전 팁 Best 5

에어컨
에어컨 '정속형.인버터' 확인방법 과 여름철 에어컨 절전팁 Best5-에어컨


에어컨 '정속형. 인버터'  확인 방법

에어컨의 구형. 신형 구분은 2011년을 기준으로 구분되는데, 2011년 이전에 출시된 제품을 '정속형' (구형 에어컨)이라고 하는 반면, 이후에 출시된 제품은 주파수 변화를 통해 회전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실외기 모터를 채용한 '인버터형'(신형 에어컨)입니다.

 

자신의 집에서 사용하는 에어컨이 정속형(구형)인지, 아니면 인버터(신형) 인지를 확인하고, 알맞은 절전방법 (운전 패턴)을 선택하면 효과적으로  전기요금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구형.신형
에어컨 '정속형.인버터' 확인방법 과 여름철 에어컨 절전팁 Best5-구형.신형
인버터
에어컨 '정속형.인버터' 확인방법 과 여름철 에어컨 절전팁 Best5-전력비교

 

정속형 vs 인버터  확인방법은..

[정속형 에어컨]

  • 생산시기: 2011년 이전에 생산된 제품
  • 운전방식: 계속적으로 같은 전력을 소비, 설정온도보다 낮아지기 위해 계속적으로 가동, 실내온도가 낮아져도 실외기 가동
  • 절전운전:시원해졌을 때 잠깐 꺼두었다가 더워지면 다시 켜서 온도를 낮추는 방법이 효과적임

[인버터 에어컨]

  • 생산시기: 2011년 이후 생산된 제품 (에너지 효율 1등급) / 냉방능력 또는 정격 능력이 정격/중간/최소로 구분됨.
    - 삼성: 모델명 여덟 번째 자리에 숫자 7 또는 9(삼성 무풍 에어컨 AR15 N5170 HZ)
    - LG전자: 모델명 두 번째 또는 세 번째 자리에 W 또는 Q(LG 휘센 FQ17 V8 KWC2)
    - 위니아: 모델명 세 번째 자리에 V 또는 W(대유 위니아 WRV11 ABH)
    - 캐리어: 모델명이 C로 시작하면 세 번째 자리에 V, 그 외 다섯 번째 자리에 V(캐리어 CPV-Q161PM)
  • 운전방식: 실내 온도가 설정한 온도에 다다르면 작동 속도를 자동으로 늦추도록 설계되어 있어 절전 가능 (주파수 조정 방식 )
  • 절전운전: 껐다, 켰다를 반복하기보다 일정한 온도로 계속 켜 두는 것이 절전 가능

상기의 방법으로 확인할 수 없다면, 해당 제조회사 고객센터로 문의하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생산시기가 2011년 기준으로 어떻게 되는지 확인하면 되는데, 저희 집 에어컨을 확인해보니, 2001년도에 생산된 LG 제품이었고, '정속형'이며, 절전방법은 시원해졌을 때 잠깐 꺼두었다가 더워지면 다시 켜서 온도를 낮추는 방법 이 좋습니다.

 

여름철 에어컨 절전 팁  Best 5 

절전 팁 #1 : 정속형 , 인버터형 확인 후, 적절한 절전운전 선택을..

전기세 걱정으로 바람 세기를 약하게 설정하는 분들이 많은데, 잘못된 방법입니다. 에어컨의 전기세를 결정하는 이유는 바로 실외기 작동 시간이며, 바람 세기를 약하게 튼 상태에서 원하는 온도까지 낮추려면 실외기 작동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어 전기세가 많이 나오게 됩니다.

 

처음부터 에어컨에 바람 세기를 강하게 설정하는 것이 실외기의 작동 시간은 짧으면서 빠른 시간 안에 쾌적한 온도까지 내려 에어컨의 전기세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절전운전 방법으로서는 위에서 언급한 대로 '정속형'인 경우, 시원해졌을 때 잠깐 꺼두었다가 더워지면 다시 켜서 온도를 낮추는 방법이 효과적이고, '인버터형'인 경우  스위치를 껐다, 켰다를 반복하기보다 일정한 온도로 계속 켜 두는 것이 절전 가능한 방법이 됩니다.

 

절전 팁 #2 : 에어컨 필터 청소하기..

에어컨 필터에 먼지가 가득 쌓여 있는 경우 평소보다 전기 요금이 35% 더 많이 나온다고 합니다.  에어컨 필터를 청소는 전기세를 절약하는 것뿐만 아니라 필터에 붙어 있는 세균들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호흡기나 피부 질환 등 각종 질병을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에어컨 사용량이 많은 여름철에는 에어컨 실내기의 필터를 1~2주에 한 번씩 청소해주면 좋습니다.

에어컨 실외기의 경우 장기간 청소하지 않아서, 공기 배출구 주변에 먼지가 쌓여 공기 순환이 제대로 되지 않아 전력 효율이 낮아지는 경우가 많은데, 먼지를 청소하고 주변에 있는 물건을 정리하면 냉방 효율이 최대 30%까지 개선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실외기가 햇빛에 그대로 노출되지 않도록 은박지 등으로 덮어서 가열되지 않도록 하는 것도 크게 효과가 있습니다.

 

절전 팁 #3 : 커튼과 블라인드 설치하기..

여름철 직사광선은 그 자체만으로도 온도 상승의 지원인이 되기도 하는데, 블라인드 만으로도 약 15%, 커튼은 약 50%의 일사량을 줄여주게 되는데, 햇빛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암막 커튼이 가장 좋으며, 색상은 빛을 반사하는 밝은 색 계열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절전 팁 #4 : 에어컨 가동 시 선풍기 동시 가동 

에어컨과 선풍기를 함께 사용하면 내부 공간에 공기 흐름이 빠르게 순환되면서 실내온도를 급속도로 낮출 수 있는데, 실험 결과 에어컨과 선풍기를 같이 사용할 경우 온도를 낮추는데 약 20%의 시간이 단축되었다 합니다.


이때 선풍기와 에어컨의 간격을 1에서 2m 떨어뜨리고 선풍기 머리를 위로 향하게 하여 바람이 천장에 닿도록 하면 좋은데, 이유는 찬 공기는 아래에 더운 공기는 위에 모여 있기 때문에 천장에 찬 공기를 불어넣으면 실내 온도를 더 빨리 식힐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같은 원리로 에어컨 선풍 구 방향도 위를 향하도록 두는 것이 실내 찬 공기와 더운 공기를 순환해 냉각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절전 팁 #5 : 에어컨 설정온도 25~26도 설정하기.. 

에어컨 온도의 1도의 차이를 위한 전기 소모량은 무려 40%가 차이 난다고 합니다. 우리나라 여름철 평균 온도가 29에서 32도인 점을 감안할 때 냉방 권장온도는 25~26도로 이 정도의 온도에서 사람은 시원함과   쾌적성을 유지할 수 있는 적정 온도라고 합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 분석한 결과에서도 성인 기준 여름철 쾌적함을 느끼는 온도는 약 21.2에서 26.5도라고 나타났으며, 쾌적 온도 범위 내에서는 두뇌 활동이 활발해지고 정서적으로도 안정감을 느낄 수가 있다고 합니다


 

마무리

이상으로 선풍기 사용만으로는 더위를  해결할 수 없어, 에어컨을 사용하다 보면, 가동시간이 늘어나면 전기요금 누진세 폭탄까지도 걱정되게 되는데, 절전을 위해 필수적인 정속형 인버터 확인방법 및 에어컨 절전 팁 Best 5를 간단히 정리해 보았는데, 이 방법을 잘 활용하여, 전기세 걱정 없이 쾌적한 여름날을 보내는데 크게 도움이 되시기 바랍니다.

 

One more thing!!  에어컨의 제습 기능이 전기세 절약에 도움이 된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이는 확인되지 않은 사실이며, 오히려 습도가 높은 날에는 일반 냉방 기능보다 에너지 사용량이 더 많을 수도 있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