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3.0 과 블록 체인,메타버스와 관계,디지털 광고시장의 변화

2022년 02월 08일 by 도리포1

    목차 (Content)
728x90
반응형

'페이스북, 트위터 등 다양한 웹 커뮤니케이션' 등  읽기와 쓰기가 동시에  가능한 웹 2.0에서 한 단계 진화되어, 블록체인 기반으로 탈중앙화가 가능한 웹 3.0과 블록체인, 메타버스와의 관계를 알아보고, 웹 3.0 시대의 환경과 디지털 광고시장의 변화 대해 정리하겠습니다.  


웹 3.0과 블록체인, 메타버스와 관계, 디지털 광고시장의 변화

썸네일
웹3.0 과 블록 체인, 메타버스와 관계, 디지털 광고시장의 변화

웹 3.0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차원에서, 웹 3.0이 나오기까지의 발전단계, 블록체인, 메타버스와 관계, 디지털 광고시장의 변화에 대한 내용을 차례로 설명하기로 합니다.


Web 3.0  이해,  환경변화는?

①웹 3.0  이전  단계

    • 웹 1.0 : 1990년대 말 생겼던 웹 1 0 우리가 인터넷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던 바로 그때 2천 년대 초반까지를 의미하며, 인터넷이라는 곳에 올라와 있는 정보를 책을 읽듯이 단순하게  읽기만 가능한 단계, 사용자는 어떤 행위를 할 수 있는 게 전혀 없다.
    • 웹 2.0 : 2000년대 중반부터 지금까지의 페이스북, 트위터 등 다양한 웹 커뮤니케이션들이 발생시키면서, 지금과 같이 읽기와 쓰기가 동시에 가능해 상호작용을 증폭시키는 생태계의 인터넷 환경
      ※ 웹 2.0 한계 : 사용자가 데이터나 저장 방법을 제어하기 어렵고, 아마존과 같은 플랫폼들이 교묘하게 약관을 통해서 개인 정보 데이터를 수집해 왔다.

②웹 3.0과 블록체인 기술  

    •  웹 3.0 정의 : 세대 인터넷의 정의는 아직 사회 전반적으로 통용되는 개념이 나온 건 아니지만, 인터넷의 2세대를 지난 3세대를 지칭하는 단어이며, 아래와 같이 그 의미를 조금씩 달리 해석하고 있다.
      -AI 등 테크산업 계:  좀 더 인공지능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블록체인 산업 계
      :    블록체인 기술의 특징인 탈 중앙화(Decentralization)에 더 집중하는 인터넷을 말한다.
    • 최근 NFT에 열광하면서 웹 환경 내에서 자신만의 고유한 디지털 자산을 소유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이고, 이것은 결국 사용자 중심으로 그 환경이 변화되는 바로 이러한 모든 근본적인 변화들이 웹 3.0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고 본다.

③웹 3.0에서 변화 

    • 네이버의 '에어 서치'라고 하는 새로운 검색 알고리즘처럼, 소비자 관심사 맞춤형으로 개인화되는 정보를 보여주게 된다.

    • 이 새로운 형태의 프로토콜이 바로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로 경제 체제를 구축할 가능성이 있다.

    • 코로나 팬더믹 이후 우리 일상생활에 제약이 생기자, 가상현실 내에서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는 이른바 Virtual Economy 시대가 도래되어 있는데, 이것은  바로 웹 3.0 시대의 진입을 의미한다라고 할 수 있다.

 

디지털  환경에서의   광고 시장 전망

    • 디지털 마케팅 시장이 웹 3.0 시대에 어떻게 진화하여, 가상 세계로 연결되고 있는 중인데, 그 시장 규모는 앞으로 3년 뒤인 2025년에는 현재보다 약 6배 커진 330조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디지털 광고 시장의 성장이 가속화된다고 볼 수 있고, 메타버스로 파생되는 디지털 광고 시장이 다음과 같이 2018년도 대비해서는 2025년에는 약 2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 메타버스로 파생되는 광고의 영역이 전체 광고 시장에서 약 40%를 차지할 것이라는 전망 자료도 나오고 있다

▥ 메타버스 인게임 광고

    • 인게임 광고 : 게임 플레이를 방해하지 않는 선에서 삽입되어 있는 광고인데, 현재의 메타버스의 초기 형태인 '로 블 룩 스'의 생태계 내에서도 이러한 광고 지면들이 이미 유료로 팔려나가고 있다고 한다.

    • 게임 속에 광고 지면을 생성하고 애드 네트워크라고 하는 애드테크 광고 기술을 통해 그 광고자를 노출시키는 '인게임 광고'가  나오고, 더 발전하게 되면 인 월드 에드라고 하는 형태로 발전되게 된다.
    •  입점하어 있는 이 브랜디드 삽에서 도미노 피자를 주문을 했을 때 실제로 우리가 현실 세계에서 피자를 받아보게 된다.

    •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가 연동되는 버추얼 옴니 채널이라고 하는 것들이 생성되어, 메타버스 공간 내에 제품 체험이 가능한 쇼룸 실제 매장을 구축하는 사례들이 점점 늘어나게 된다.

    • 국내 브랜드 중에서도 지금 보시는 것처럼 '롯데 하이마트', 'GS25', '이디아 카페' 등이 환경을 대표적으로 구축해서 소비자들과 소통과 체험의 기회를 확대하고 있는 중이다,
    • 나이키 같은 글로벌 패션 브랜드는 로 블 룩 스 나이키 랜드라고 하는 곳을 만들어서 이미 이러한 세계관을 굉장히 크게 확장을 하고 버벌이나 굳이 루이뷔통 같은 해외 명품 브랜드도 이러한 사업의 확대를 시작했다

가상현실, 증강현실  기술

    • 가상 환경:  현재 단순히 모바일 화면에서 보는 디지털 디바이스로 접근하는 것이 아닌, 증강현실을 경험하는 AR(Augmented reality) 기기 (구글 글라스) ,  '메타'의 VR(Virtual reality) 기기 등이 가상 환경에서 미디어 소비의 방식이 되게 된다,
    • AR 디바이스 활용사례:  3D 공간에서의 경험 그리고 AR 디바이스를 활용한 이커머스의 활용 등등은 이미 우리의 현실에서 다음과 같은 사례로 실현되고 있다.
      -소비의 시작을 라이브 커머스로 하고 있고, 미디어 소비 행태도 라이브 스트리밍으로 하고 있다.
      -아프리카 tv나 유튜브 라이브 그리고 인스타에서도 본인이 좋아하는 인플루언서들과 라이브로 소통한다.
      -
      게임은 단순하게 내가 즐기는 게임이 아니라 소셜형 관계형으로 연결되어 있다.
  • 더 진화하여, 2010년 이후 태생의 알파 세대들의  '이 커머스'는 라이브 커머스를 넘어 '블록체인 기반의 버추얼 스토어'가 될 가능성

마무리 글

  • 웹 3.0 시대가 가져올 수 있는 변화를 인정하지 않을 수 없으며, 앞으로 가까운 미래에, 스마트폰이 일상을 바꿔놓은 것과 같이, 또 다른 변화가 일어날 수도 있다고 봅니다.

  • 한편에서는, 아직도 웹 3.0을 인정하지 않고, 일종의 '사기'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하며, 새로운 기술을 선점하여, 기회를 놓치지 않는 것도 중요하지만, 리스크가 큰 NFT 투자를 고려하고 있다면, 관련한 기본적인 지식에 대한 깊은 이해가 충분히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웹 3.0 기술의 대명사라 할 수 있는  블록체인, 메타버스, NFT 등에 대한 지식에 대한 자료를 계속해서,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끝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