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no AI 프롬프트 사용법: 나만의 효과적인 음악 생성을 위한 가이드

2025년 03월 09일 by 도리포1
728x90
반응형

생성형 AI가 발전은 음악 생성 분야에도 예외가 아닙니다. 음악을 생성해 주는 그림생성 분야에 '미드져니'가 있고, LLM에서는  ChatGPT 가 있다면, 음악생성 분야에는 'Suno AI'가 자리를 잡고 있는데,  오늘 포스팅에서는 'Suno AI'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음악생성을 위한  Suno AI 프롬프트 사용법에 대해서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필자는 Suno AI가 처음 출시되었을 때부터 이용해 왔고, 이후 유튜브 업로드등의 상업적 이용을 위해 'Pro Plan'을 이용하고 있는데, 내가 원하는 음악을 만들어내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Suno AI에서 노래를 생성할 때 입력하는 프롬프트라고 할 수 있는데, 음악생성을 할 때 필요한 프롬프트의 중요성과 사용법에 대해서 하나씩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는 실제 필자가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에 최근 업로드된 영상입니다. 

https://youtu.be/MbG6 nIo367 A

 


Suno AI 프롬프트 사용법: 나만의 효과적인 음악 생성을 위한 가이드 

Suno AI 프롬프트는 Suno AI를 처음 접하는 분들부터 이미 사용 중인 분들까지 모두에게 유용한 팁과 실전 예제를 제공하며 Suno AI는 창의성을 발휘하면 무한한 가능성을 열어주는 도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Suno AI
Suno AI 프롬프트 사용법: 나만의 효과적인 음악 생성을 위한 가이드


Suno AI에서 프롬프트의 중요성, 작성 3원칙, 좋은 프롬프트   

Suno AI란 무엇인가?

Suno AI는 사용자가 원하는 음악 스타일이나 분위기를 입력하면, 이를 기반으로 고품질의 트랙을 생성해 주는 인공지능 도구입니다.

 

마치 주방에서 요리사를 도와주는 조수처럼, 여러분이 원하는 음악의 재료(장르, 분위기, 악기 등)를 제시하면 이를 멋진 요리로 완성해 줍니다. 이 도구는 유튜브 배경음악(BGM), 게임 음악, 광고 음악, 그리고 개인적인 힐링 음악(예: Lo-Fi)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특히 창의력이 뒷받침된다면 그 활용 범위는 무궁무진하다고 할 수 있는데, 이렇게 멋진 결과를 얻으려면 Suno AI가 이해할 수 있는 명확한 지침, 즉 프롬프트를 잘 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가 있겠죠?

 

'프롬프트'란 간단히 말해 AI에게 주는 명령문으로서,  이 지침이 모호하거나 너무 복잡하면 원하는 음악이 나오지 않을 가능성이 큽니다. 예를 들어, "차분하고 따뜻한 피아노 곡을 만들어줘"라고만 입력하면 Suno AI가 이를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 혼란스러워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효과적인 프롬프트 작성법을 통해 원하는 음악을 손쉽게 얻는 방법을 집중 탐구해 보겠습니다.

 

Suno AI 사이트 바로가기 :  https://suno.com

 

효과적인 프롬프트 작성의 3가지

핵심 요소 Suno AI로 좋은 음악을 만들기 위해 프롬프트를 작성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할 세 가지 요소가 있습니다. 이 요소들을 잘 활용하면 AI가 여러분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하고, 만족스러운 결과를 내놓을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1. 장르와 시대 (Genre and Era)

음악을 만들 때 가장 먼저 정해야 할 것은 '장르'와 '시대'입니다. 장르는 음악의 기본 틀을 결정짓는 요소로, 예를 들어 재즈, 힙합, 트로트, 디스코 등이 있습니다.

 

여기에 시대를 추가하면 더 구체적인 스타일이 완성되죠. 90년대 R&B와 70년대 디스코는 분위기와 악기 사용에서 큰 차이를 보입니다. 시대를 명시하지 않으면 AI가 임의로 해석해 엉뚱한 결과물이 나올 수 있으니, "90년대 디스코"나 "80년대 한국 트로트"처럼 구체적으로 작성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디스코 음악을 만들어줘"라고만 입력하면 Suno AI는 어떤 시대의 디스코를 기준으로 해야 할지 몰라 혼란스러워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70년대 디스코, 펑키한 신스 사운드"라고 쓰면 AI는 그 시대의 특징을 반영한 음악을 훨씬 더 잘 생성합니다. 이는 역사적 배경과 음악 스타일이 맞물려 더 사실적이고 생동감 있는 결과물을 만들어내기 때문입니다.

 

 

2. 구체적인 키워드 (Specific Example Keywords)

두 번째로 중요한 것은 '구체적인 키워드'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여기에는 주된 악기, 스타일, 감정 등이 포함됩니다. 예를 들어, 주 악기를 "색소폰"으로 할지 "일렉트릭 기타"로 할지 정하면 음악의 전체 분위기가 달라집니다.

 

또 "차분한", "꿈꾸는 듯한", "에너지 넘치는" 같은 감정 키워드를 추가하면 AI가 더 명확히 방향을 잡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너무 많은 감정이나 악기를 한꺼번에 넣으면 AI가 혼란스러워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슬프고, 신나고, 빠르면서도 차분한 고 템포 곡" 같은 프롬프트는 사람도 이해하기 어려운 모순된 지시입니다. 대신 "꿈꾸는 듯한, 에너지 넘치는"처럼 간단하고 명확한 두세 개의 키워드로 정리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3. 곡 구조 (Song Structure)

마지막으로  '곡 구조'를 고려해야 합니다. 음악은 단순히 멜로디의 나열이 아니라, 일정한 흐름과 구조를 갖습니다. Suno AI도 이를 반영해 작업하는데, 일반적으로 **인트로(Intro) - 버스(Verse) - 코러스(Chorus) - 브리지(Bridge) - 아웃로(Outro)** 같은 4~5단계 구조를 기본으로 합니다.

 

프롬프트에 이 구조를 간단히 언급하거나, "인트로에 신스 리프를 넣어줘"처럼 특정 부분을 강조하면 더 정교한 결과물을 얻을 수 있습니다. 구조를 명시하지 않으면 AI가 임의로 곡을 구성하는데, 이는 때때로 원하는 흐름과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간단하게라도 "인트로와 코러스가 있는 곡"이라고 쓰는 것이 좋습니다.

 

좋은 프롬프트 vs 나쁜 프롬프트

이제 실전에서 어떤 프롬프트가 효과적인지, 어떤 프롬프트가 실패로 이어지는지 예제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나쁜 프롬프트 예시

1. "80년대 일본 스타일 시티팝, 재즈 느낌, 색소폰과 피아노 중심" :  → 너무 많은 요소가 섞여 있어 AI가 어떤 부분을 우선해야 할지 모호합니다. "일본 스타일"과 "재즈 느낌"이 충돌할 수 있고, 색소폰과 피아노 중 무엇에 더 무게를 둬야 할지도 불분명합니다.

 

2. "Lo-Fi 느낌의 힙합, 기타가 차분하게 나오고 전체 분위기가 편안했으면 좋겠어" :  → 문장으로 길게 늘어져 있고, "편안하다"는 표현이 주관적이어서 AI가 해석하기 어렵습니다.

 

좋은 프롬프트 예시

1. "90년대 디스코, 펑키 신스, 빠른 템포" → 간결한 키워드로 구성되어 있고, 시대와 장르가 명확합니다.

AI가 바로 이해하고 작업할 수 있는 지시입니다.

 

2. "80년대 한국 트로트, 아코디언 멜로디, 애절한 분위기" → 주 악기와 감정을 간단히 추가해 트로트 특유의 느낌을 살리면서도 AI가 처리하기 쉬운 형태입니다.

 

좋은 프롬프트의 핵심은 '간결함'과 '명확성'입니다. 긴 문장이나 모호한 표현 대신, 핵심 키워드 2~6개로 압축해 입력하면 훨씬 더 만족스러운 결과가 나옵니다.

 

실전: Suno AI로 음악 만들기

이제 이론을 바탕으로 실제 프롬프트를 작성하고 Suno AI로 음악을 만들어보겠습니다. 아래는 몇 가지 예제와 그 결과에 대한 분석입니다. 

 

예제 1: 70년대 디스코

- 프롬프트: "70s Disco, Funky Synth, Energetic Vibe"

- 결과 : 펑키한 신스 사운드와 빠른 비트가 어우러진 흥겨운 디스코 곡이 생성되었습니다. 70년대 특유의 그루브가 잘 살아있었죠.

- 분석: 시대와 장르를 명확히 하고, 감정을 간단히 추가한 덕분에 AI가 의도를 정확히 반영했습니다.

 

 

예제 2: 80년대 한국 트로트

- 프롬프트: "80s Korean Trot, Accordion, Heartbreaking"

- 결과: 아코디언 멜로디가 주를 이루며, 애절한 트로트 느낌이 잘 담긴 곡이 나왔습니다.

- 분석: "Heartbreaking"이라는 감정 키워드가 트로트의 전형적인 주제인 짝사랑을 잘 표현했고, 아코디언이 곡에 한국적인 색채를

             더했습니다.

 

 예제 3: 90년대 K-POP 테크노

- 프롬프트: "90s K-Pop Techno, Synth Riff, Thumping Beat"

- 결과: 이정현 의 '와'와 비슷한 강렬한 테크노 비트와 신스 사운드가 돋보이는 곡이 완성되었습니다.

- 분석: 90년대 K-POP의 상징적인 요소를 키워드로 뽑아 입력하니, 당시의 트렌드가 잘 반영된 곡이 나왔습니다.

 [캡처사진 설명]

 -Suno에서 ' Style of music'에 " 90s K-Pop Techno, Synth Riff, Thumping Beat"를 입력하고,

  Suno에서 직접 가사를 제공받기 위해; "Full Song"을 클릭하고, 제목은 '이정현의 와 '노래 첫 소절인 " 사랑이 아니길 믿고 싶었어"를   입력하고 가사 작성을 클릭하고 첫 번째 가사를 선택하여 'Create' 버튼을 눌러서 노래를 생성하였습니다.

프롬프트 입력가사 생성
Suno AI에서 직접 노래 생성하기

 

 위에서 생성된 노래는 아래 링크와 같습니다.

https://suno.com/song/25b2a858-86ec-472a-9c72-d0aa57b6dd78?sh=ZMzpl23xw4UzuTl1

 

사랑이 아니길 믿고 싶었어 by @doripi4 | Suno

90s K-Pop Techno, Synth Riff, Thumping Beat song. Listen and make your own with Suno.

suno.com

 

 

프롬프트 오류와 문제 해결

Suno AI를 사용하다 보면 의도와 다른 결과물이 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는 몇 가지 팁을 소개합니다.

  • 너무 긴 프롬프트: 키워드가 6개를 넘어가면 AI가 혼란스러워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ChatGPT를 활용해 긴 문장을 4~6개의 핵심 키워드로 정리해 보세요.
    - 예: "90년대 디스코, 신나는, 펑키한 신스 사운드, 빠른 템포, 로맨틱한 분위기" → "90s Disco, Funky Synth, Fast Tempo"
  • 모호한 표현: "좋은 분위기" 같은 주관적 표현은 피하고, 구체적인 감정(예: "차분한", "신나는")을 사용하세요.
  • 언어 문제: 한국어로 작성하면 AI가 K-POP으로만 인식할 수 있으니, 영어로 간단히 작성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예를 들어 "80년대 트로트" 대신 "80s Korean Trot"로 입력하면 더 정확합니다.

 

마무리

이상으로 음악생성 분야에는 'Suno AI'가 자리를 잡고 있는 'Suno AI'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음악생성을 위한 Suno AI 프롬프트 사용법에 대해서 정리하였습니다.

 

Suno AI로 창작의 즐거움을 누리자 Suno AI는 복잡한 음악 이론을 몰라도 누구나 쉽게 원하는 음악을 만들 수 있게 해주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앞에서 언급한 '장르와 시대', '구체적 키워드', '곡 구조'라는 세 가지 요소를 활용하면, 창의력을 최대한 발휘해 독창적인 음악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프롬프트를 '간결하고 명확하게' 작성하는 것! 너무 길거나 모호한 지시는 피하고, 핵심만 담는다는 것을 지키면 되겠습니다.

창작의 재미와 성취감을 느끼는 그 순간, Suno AI가 여러분의 든든한 조수가 되어줄 것입니다. 끝.

728x90
반응형